Paradigm Shift

The Impossibilit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Ryul Song, Christian Schweitzer


Designing and discussing architecture in Korea uses the same terminology as it is used in the global discourse. But looking closer, these terms have a very specific and far more radical meaning in the Korean context than their western implications. Put into other words, what we know has no relevance in Seoul, what we do has no relevance in Seoul, everything is sucked up and swallowed by this overwhelming organism. Seoul stretches what we think to know about architecture as building to a point where it almost dissolves itself into an abstract task, disconnected completely from any pre-defined terminology.  Experiencing Seoul therefore can consequently only result in a fundamental re-thinking and re-defining of every step in the generation of architecture.

Context … the Bestand (best to be translated with the existing) is the starting point for any building task. We are trained to analyse the existing, to interpret the existing, to add to the existing, to build upon the existing, to complete the existing. The immediate existing as well as the larger context into which we place our design is the reference point which legitimates and judges our actions. We can rely on the existing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that links our design into the city and thereby becomes part of the existing.

In Seoul the existing withdraws itself very radically from this communication. An ostensible heterogeneity where everything refuses to relate to anything, where everything is only focused on itself and its own advantage, on the second glance reveals itself as an all-embracing sameness.  Everything is same. Seoul is the endless repetition of one building programmed to the behaviour of its current user. Therefore every building becomes exchangeable without leaving a gap after its replacement which reduces the notion of context ad absurdum.

Time … usually one can rely on time, from the idea of a building to its execution to the aging of a building, and its eventual renewal or destruction.

In Seoul time is not linear; time exists only highly compressed to a single point where everything happens simultaneously. The very idea for a building in Seoul implements already its obsolescence. The speed with which the city is built and rebuilt makes terms like constancy or continuity obsolete. The architect has to provide a solution to a task before it is even phrased. The same contradiction expresses itself in the lifespan of a building. It is detached from the building itself. The value of a building in contrast to its site is so low that it has no influence on its very right to exist. In Seoul every building is a temporary structure, with all the consequences a temporary structure is subject to.

Function … the overstressed expression “form follows function” has become a dogma in architecture. As beauty has become a subjective term, we legitimize our designs by developing a building that reflects, interprets or utilizes its function or functionality in a form generating process. We can rely on a specific function to provide us with a unique solution for every task.

Seoul is essentially multifunctional. Function and program of a building can change at any time even before it’s built. In Seoul the built environment has the ability to adapt everything and to abandon it in the next moment. Therefore Seoul is widely undetermined; functions shift and overlap and exchange disconnected from its built structures. This program-overlap causes the extinction of any specific function; everything has to have the ability to let everything happen anytime anywhere else it becomes an interference factor in the city.

Space … we are trained to design space, to structure and organize space, to establish special relationships, within a building, between buildings, within a city. Therefore architects developed a sophisticated differentiation of space, from private so semi-private, to semi-public, to public space with highly complex relations and exchange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space.

Space in Seoul is flat. Space is reduced to the standard thickness of a wall, the separation of inside-space and outside-space. No other form of space exists. And even this wall is highly utilized as carrier of information, or storage, or privacy-generator, which shifts it from a spatial to a functional element that not just separates but disconnects from the space on the other side. Seoul in its last consequence is a continuous inside-space which doesn’t allow any reference point on the outside to set oneself in relation to the city. Inside a building in Seoul one is anywhere and nowhere at the same time. Quality of space becomes not a question of relation between different spaces but an abstract idea of space in relation to itself.

Form … today everything is possible as long as one finds a good reason for it. In Seoul one doesn’t even need this reason any more. Form-generating methodologies developed for a specific task are applied in Seoul almost randomly and disconnected from the theory behind it. Form is not generated anymore, it is applied; a subtle but crucial distinction. Form as the expression of an idea is reduced to form as the expression of form. Therefore Seoul has overcome form before it even realized it itself. Form disconnected from content, idea, methodology, excludes itself from an architectural process. Form in Seoul just is, whatever the implications of ‘just being’ can be.

Material … as the material or materiality of a building is the dominating factor in the perception of a building next to its form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question of representation. We are trained to express our ideas though the application of specific materials. Material ‘talks’, it is coded through a flexible value system that puts our design into a larger architectural context. How we use material says who we are.

In a multifunctional, non-determined environment the question of material becomes a purely logistic one. Material is used according to its availability, not even necessarily according to its price. Seoul undercut this architectural value system where suddenly material doesn’t provide information anymore about the status and the representation of a building. Material is used as a necessity not as a choice. As a building in Seoul only exists in the present, questions of durability, sustainability, maintenance of material do not arise and a much wider pallet of materials can be applied. Therefore Seoul has expanded the vocabulary of materials that are used in building by far. A simple plastic foil has the ability in Seoul to last longer and to talk more than any established building material.

With these observations in mind very fundamental questions arise. How can we design a building that doesn’t want to be anything, that doesn’t want to relate to anything, that doesn’t want to represent anything, a building that essentially has no function, no economic life-time, no value to anyone? How can we design space that doesn’t want to be organized, structured, determined, that doesn’t want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in a building, between buildings, within a city. How can we still communicate about and through architecture with out-dated definitions in the back of our heads of what establishes it? Seoul today forces architecture to reinvent itself.

Paradigm Shift

현대건축은 자신의 의미를 잃었다!

송률, 크리스티안 슈바이처


현재 한국의 건축 디자인과 토론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들은 글로벌 토론에서 사용되는 용어들과 동일하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용어들은 서양에서의 의미보다 한국에서 훨씬 더 극단적이며 매우 특이한 의미를 갖고 있다. 우리 건축가들이 이미 알고 있는 건축적 지식과 행위들은 서울에서 큰 의미가 없으며, 서울이라는 이 압도적 유기체는 모든 것은 집어 삼키고 있다. 우리가 이제까지 건축물을 위하여 배운 건축에 대한 지식의 줄은 이 곳 상황에 맞추기 위하여 늘리고 늘려보다가 결국은 끊어져 추상 속으로 용해되었으며, 서울의 건축은 이미 정의되어진 건축용어들과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그러므로 서울을 경험하게 되면, 건축 생성의 모든 과정을 근본적으로 다시 생각하고 재정의 하여야만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컨텍스트(Context) … ‘기존 상황’은 건축 짓기 과정의 시작점이다. 우리는 기존 상황을 분석하고 해석하며, 기존 상황에 무엇인가를 첨부하고, 또한 그것을 기반으로 하여 상황을 완성시키도록 교육받았다. 우리의 디자인이 위치하게 될 대지 바로 옆의 물리적인 컨텍스트이든, 범 형이상학적 컨텍스트이든, 컨텍스트는 우리 행위의 정당성과 타당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준점이 된다. 전형적인 의미로써, 도시 안에서 우리의 디자인은 이웃 건물과 소통을 확립하게 되며, 그럼으로써 기존상황의 한 부분이 되어간다.

그러나 서울에서 이 기존상황은 그 자신을 이러한 소통에서 배제시킨다. 모든 것이 다른 모든 것으로부터 관계 맺기를 거부하며, 모든 것이 그 자신과 자신의 이익에만 집중되어 있다. 이렇듯 표면적으로 매우 이질혼합적(heterogeneity)인 서울은 각자가 매우 특색을 갖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다시 보게 되면, 모든 것이 비슷해 보이는 동일성이 지배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모든 것이 똑같다. 서울은 그 시점의 사용자의 행태로 프로그램화 된 하나의 건물이 끊임없이 반복된 곳이다. 그러므로 모든 건물은 그것의 컨텍스트 안에서의 잃어버리게 될 의미를 애석해 할 필요 없이 다른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시간(Time) … 일반적으로 한 건축물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산다. 처음의 아이디어, 그리고 짓기, 건물의 사용 그리고 낡음… 그리고 그것의 재생 또는 철거로 이어진다.

그러나 서울에서의 시간은 이렇게 선(線)적이지 않다. 서울의 시간은 어느 한 점, 즉 모든 것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대단히 압축된 한 점에서만 존재한다. 서울에서는 건물에 대한 개략적인 생각조차도 그것이 시작됨과 동시에 벌써 진부해지기 시작한다. 도시를 형성하고 재생하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는 도시의 항상성 또는 지속성과 같은 조건들을 쓸모없게 만들어 버리며, 서울의 건축가는 과업이 말로 표현되기도 전에 그 과업의 해결책을 공급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모순은 건물의 수명에서도 똑같이 드러난다. 건물수명은 건물 자체와 상관이 없다. 건축물의 가치는 그것이 놓여있는 땅의 가치에 비하여 너무 낮기 때문에, 그 건축물이 그 곳에 존재할 수 있는 권리에 아무런 영향도 끼칠 수 없다. 그래서 서울의 모든 건축물은, 가설 건축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가설 건축물로 정의 될 수 있는 모든 요건들을 갖춘 가설 구조체로 지어지고 있다.

기능(Function) …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라는 지나치게 강조된 표현은 건축에서 교리가 되었다. 미(美)는 주관적인 요건이 되었기 때문에, 기능 또는 프로세스에서 탄생한 형태의 기능성을 반영/이용하는 건축물을 발전시킴으로써 우리의 디자인을 정당화 하려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정당성을 극대화하기위하여 특정한 프로그램(기능)으로부터 그것을 위한 유일무이한 해결책을 이끌어 낸 건축으로 향한다.

그러나 서울은 근본적으로 다기능적 도시이다. 건축물의 기능과 프로그램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으며, 심지어 건물이 지어지기도 전에 바뀌기도 한다. 서울에서 건축환경은 모든 것이 적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또한 바로 폐기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서울은 정의될 수 없는 도시이다. 이 곳에서 건축물의 기능은, 건축물 그 자체와는 무관하게 없어지고, 중첩되고, 교체된다.

공간(Space) … 우리는 일반적으로 공간을 설계하고, 공간을 구축하며 구성하도록 교육받았다. 그리고 한 건축물 안에서, 또는 건축물들 사이에서, 또는 도시 안에서 특별한 관계가 형성되도록 교육 받았다. 그래서 건축가는 아주 섬세하게 공간의 차이성을 발전시켜 나간다. 예를 들면, 대단히 복합적인 (관계와 공간의 질을 결정하는) 교류 안에서, 개인공간에서 준개인공간으로, 준공공공간, 그리고 공공공간을 발전시킨다.

그러나 서울의 공간은 2차원적이다. 공간은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나누는 벽(壁)의 일반적 두께로 축소된다. 다른 공간 형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벽 자체도 정보운송 또는 창고로 이용되며, 벽은 공간적 요소에서 기능적 요소로 전환된다. 더구나 벽은 공간을 단지 나누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쪽에 있는 공간으로부터 이 쪽을 완전히 단절시키는 사적공간제조기(privacy-generator)로 최대한 이용되고 있다. 서울은, 결과적으로 내부공간의 연속인 도시이며, 도시와의 관계성을 찾을 수 있는 외부와의 어떠한 기준점도 허락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서울에서 누군가 건물의 내부공간에 있다는 것은, 어느 공간에 있든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 한다. 이 곳에서 공간의 가치에 대한 물음은, 서로 다른 공간들이 만들어내는 관계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하나의 공간 그 자체가 만들어 낸 (조형적인) 추상적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형태(Form) … “오늘날은 모든 것이 가능하다”라는 관용구는, 그것을 위한 근거가 있다면 유효한 것이다. 그러나 서울에서는 그 이유조차 더 이상 필요 없다. 어떤 특정한 프로젝트를 위하여 발전된 형태구현 방법론은 서울에서는 거의 무작위로 차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를 구현하려했던 본래의 이론과도 아무 연관성이 없다. 형태는 더 이상 새로이 구현되지 않으며, 다른 건축물로부터 차용되고 적용될 뿐이다. 미묘하지만 매우 결정적인 차이이다: 발상의 표현으로써 형태는, 형태의 표현을 위한 형태로 의미 축소가 되었다. 그러므로 서울은 자신이 깨닫기도 전에 벌써 형태라는 이슈를 극복하였다. 형태는 내용, 아이디어, 방법론 등과 상관이 없으며, 그 자신을 이러한 건축 프로세스에서 배제시킨다. 서울에서 형태는 ‘단지 여기 있다’라는, 즉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다는 함축의 의미이다.

재료(Material) … 건축물의 재료 또는 재료성은 형태와 함께 그 건축물을 인식하는 지배적인 요소로써, 건축물 표상이라는 관건과 매우 밀접하다. 우리는 특정한 재료를 적용하여 우리의 아이디어를 표현하도록 교육받았다. 재료는 우리에게 ‘말을 한다’. 건축재료는 그 자체의 유연한 가치분류체계를 통하여 코드화되며, 이러한 유연한 가치분류체계는 우리의 디자인을 더 넓은 범위의 건축적 컨텍스트 안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우리가 재료를 어떻게 쓰는가하는 것은, 우리가 어떤 건축가인가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기능적이며 비확정적 환경에서, 재료에 관한 문제는 완전히 효율적인 유통에 대한 것이다. 재료는 가용성에 따라 사용되며, 가격도 2차적인 문제이다. 재료가 더 이상 건축물의 현황이나 표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서울은 이러한 건축적 가치분류체계를 무기력하게 만든다. 건축재료는 적합한 상황을 위한 선택사항이 아닌 즉각적인 필요성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서울에서 건축물은 오직 현재에만 존재한다. 내구성 또는 지속가능성, 재료의 유지/ 보수에 대한 문제 제기가 없으므로, 더 광범위한 재료 선택이 가능하다. 서울은 건물에 사용되는 재료의 다양한 어휘가 단연코 굉장히 확장되어있다. 서울에서는 간단한 플라스틱 천조차도 건축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보다 더 긴 수명을 유지하며, 다른 어떤 일반적인 건축재료보다 더 많은 것을 이야기 한다.

이러한 서울에 대한 관찰로부터 근본적인 질문을 하게 된다. 어떤 것도 되고 싶지 않은, 무엇과도 연관되고 싶지 않은, 무엇도 표현하고 싶어 하지 않는 건축물을 어떻게 디자인하여야 하는가? 본질적으로 기능(프로그램)도 없으며, 경제적인 수명도 상관없으며, 어느 누구에게도 가치가 없는 건축물을 어떻게 디자인 하여야 하는가? 조직되기를, 체계를 갖추기를, 그리고 정의되기를 원치 않는 공간을 어떻게 디자인 하여야 하는가? 건축물 그 자체 안에서, 건축물들 사이에서 그리고 도시 안에서 어떠한 공간적 관계 맺기를 원치 않는 공간을 어떻게 디자인하여야 하는가? 우리의 생각 깊은 곳에 존재하는, 우리의 건축을 형성시킨 정의들이 이제는 진부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 정의들로 건축물에 관한 소통이 여전히 가능한 것인가? 오늘의 서울은 건축이 혁신하도록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