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rchitecture Museum is not an Architecture Museum

건축박물관은 건축의 박물관이 아니다

by Ryul Song and Christian Schweitzer

A Plea for a Public Discussion on the Korean National Museum of Urbanism and Architecture


An architecture museum is full of contradictions. Unlike that of art or design museums, in which original works or objects of value as such are collected and displayed, an architecture museum only deals with secondary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at hand: documents that lead to architecture, such as plans and models, or documentation of architecture, like photography. Kim Swoo Geun’s glasses become more valuable than a photograph of the Kyungdong Presbyterian Church. There is no actual architecture in an architecture museum. Therefore, architecture exhibitions are arguably fundamentally flawed.

In 1929 for the 2nd CIAM exhibition ‘Die Wohnung für das Existenzminimum’ (The Dwelling for Minimal Existence) Ernst May invented the ‘traveling exhibition’ to reach a wider audience by sending this exhibition through Europe. In order to achieve this he reduced the representation of architectural works to plans, models, and photos; flexible entities that can be easily shipped. In knowledge of this exhibition, Philip Johnson refined this concept for his 1932 exhibition ‘The International Style’ and established what we today associate with an architecture exhibition: plans, models, photos, texts, documents; artifacts that cannot communicate the essence of architecture but simply narratives about architecture. This fact makes an architecture museum a historical museum, displaying fragments in order to tell a story that might otherwise not be made tangible. And yet historical events are in the past, while architecture can still be in the now just a few kilometres away. An architecture museum simulates, reduces, substitutes, or de-contextualizes architecture. Which raises the question of what an architecture museum should be or seek to do, and it first and foremost definitely should not be a ‘museum’.

The architecture of an art or design museum provides an envelope in which or a canvas upon which to experience art or design. The architecture of an architecture museum provides an envelope in the absence of actual architecture on display. Therefore the building itself becomes the exhibition of architecture; the museum’s architecture is the only architecture we can experience. This gives the actual building a very different meaning than that of any other museum, and raises the question of how one architect and their creation can represent architecture in its entirety.

An architecture museum can never be a ‘white cube’ like that of an art museum, it can never be neutral or passive.  A newly designed building is destined for failure in the aim to represent complexity of experience or meaning, no matter how spectacular the design. It will always be a representation of a distinct moment in time in architectural history and thereby outdated as an architecture museum from the outset.

This conundrum has been solved by successful architecture museums through the employ of historic buildings. By converting and extending an existing historic building of architectural relevance into an architecture museum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 architecture, architect, exhibition, and visitor becomes a multi-layered relationship. Even in the absence of an exhibition, architecture in its complexity and entirety is always present and accessible. A successful example in this regard is the German Architecture Museum in Frankfurt. Oswald Mathias Ungers’ conversion and extension of a nineteenth–century villa into the architecture museum with his famous ‘the house within the house’ concept, and the nearby conversion of an early twentieth–century factory into the museum archive and library by Karl and Max Dudler, provide the aforementioned complexity of meaning: two historic buildings from different time periods, five architects, four design philosophies expressing historic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layered, relational, charged, a complex conversation with architecture about architecture.

In his winning project for the competition of the Korean Museum of Urbanism and Architecture in Sejong Alejandro Zaera-Polo tries to substitute a lacking context by reusing dismantled highway sections to construct the building. It is an admirable gesture to newly create a historic context, but it merely substitutes context: the architecture museum as simulacrum, a secondary representation of context containing a secondary representation of architecture.

This raises the question of location. Seoul might be the obvious decision for the Korean Museum of Urbanism and Architecture. Here stand a myriad historic buildings that could be converted and extended in an appropriate fashion to suit an architecture museum; from any ‘Sangga’ like Yujin Sangga or Sewoon Sangga, to any first or second generation apartment complex, to a multitude of obsolete infrastructure buildings, to whole obsolete industrial neighborhoods. However, what about Daejeon or Busan? Maybe we need a decentralised museum that can connect with its wider context and transform it through its content. A new building for an architecture museum is an anachronism, a single location for an architecture museum is a reduction of relevance; the main location away from the architectural community makes it irrelevant.

It is easy to predict that the children’s museum, within this new museum complex in Sejong, will have far more visitors than the architecture museum. Sejong’s residents are the wrong target audience for an architecture museum, and no one will move there simply because of an architecture museum. A newly built architecture museum located within a newly built city would speak to the failure of contemporary urbanism and architecture; it is like an ice cream shop at the North Pole.

It is almost offensive that architecture is to be abused, as if part of a cultural amusement park, in order to make a new town more attractive. Following such an approach, architecture will become the fig leaf of culture, rotting in oblivion. The ‘Bilbao Effect’ revitalised a historic city suffering from structural change, but it was a city already of a distinct identity and meaning, and would have survived without the Guggenheim Museum. Sejong first has to find its own identity and meaning – it should not have to rely on a misunderstanding of the Bilbao Effect to give it meaning. Wouldn’t it be much more useful to move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o Sejong to plug into the foundational meaning of Sejong as the administrative capital of Korea?

Which raises the question of who an architecture museum addresses. A living architecture museum gains its relevance through engagement with the architectural community in a conversation about the future. Therefore the primary audience of an architecture museum is the architecture community and therefore has to be physically located within this community. A living architecture museum is a place of education and research, and it should be located where architecture students live and work.

A living architecture museum does not educate the general public about the abstract reflections upon architecture or its history, but explains the built environment we experience every day in all its complexity. As such, it cannot be located in the absence of historic complexity.

One can sense in the renderings of the competition project, in which Alejandro Zaera-Polo deliberately placed a myriad of historic architectural fragments throughout his design, that in this generic location no meaningful discourse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is imagery he points out that this museum is only directed to laypersons, dumbing down what an architecture museum can or should do. Employing the concept of an encyclopedic collection becomes especially troubling in an era of decolonisation, when museums all over the world are starting to restitute artworks in their collections to the countries of origin. An architecture museum in the 21st century cannot simulate the idea of a 19th century museum.

This raises the question of what or how to exhibit. Clementine Deliss in her book The Metabolic Museum suggests that a museum has to operate through the aim of building up knowledge. It is neither simply a storage facility nor a place of one-directional knowledge transfer, but a place in which to gain and accumulate knowledge through one’s response. It is not only the visitor who is educated, but the museum also learns from the visitor: the museum can be a two-directional academy that constantly evolves in reaction to its audience by giving their thoughts equal representation as the exhibition itself. This is the museum made laboratory, an active place capable of generating architectural discourse. A national museum requiring a substantial journey to Sejong, for those able and qualified to contribute to such a place of knowledge creation, is widely inadequate.

This raises the question of how to establish a meaningful architecture museum.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was deliberately placed within a historic context and within a cluster of art galleries. It thrives because of the effects of exchange and synergy. A museum is not itself alone, it requires the surrounding infrastructure of experts, institutions, practitioners and interested audiences. It requires emotional investment from its users in order to thrive. A Korean Museum of Urbanism and Architecture in Sejong would be a tombstone to architecture, an empty monument, a bunker for a forgotten archive.

There is a simple thought experiment. Let us assume tomorrow the political decision is made to move the MMCA out of Seoul to Sejong. There would be an immediate outcry from the art community ringing with a multitude of arguments as to why to remain in Sogyeok-dong. Every single argument can be applied to the question of why the Korean Museum of Urbanism and Architecture should not be in Sejong. But where is the outcry from the architecture community? Architecture has long lost its voice in terms of cultural relevance. We are afraid to speak up out of fear of retaliation from decision makers. We became subservient to the building industry, interest groups, politics, and capital afraid of losing potential clients. Our silence diminishes the importance of architecture further.

The urgent necessity of a Korean Museum of Urbanism and Architecture is indisputable. Architecture deserves potent representation within society in order to communicate, educate, and represent itself. However, an architecture museum disconnected from the people that make architecture possible is fundamentally flawed.

A public discussion about this is only beginning now, after the fact of a decided competition. Instead of stuffing our hopes into a sarcophagus in Sejong, we, the architecture community, have to go back to the start. First we have to publicly discuss what kind of museum we need and want; from this a programme has to be developed, from this a location has to be determined, from this a competition can be launched; bottom-up and not top-down.


건축박물관은 건축의 박물관이 아니다

글 송률, 크리스티안 슈바이처

국립도시건축박물관에 관한 공개 담론을 위한 호소


건축박물관이라는 것은 그 자체로 거대한 모순이다. 본연의 가치를 그대로 간직한 원본을 소장하며 전시하는 미술관이나 디자인박물관과는 달리, 건축박물관은 본질의 이차적 표상들로 채워진다. 건축을 위한 도면과 모형, 또는 실제 건축을 기록한 사진들 말이다. 김수근이 쓰던 안경은 경동교회의 사진보다 더 가치 있는 것이 된다. 건축박물관에는 실제 건축이 없다. 따라서 건축 전시회는 근본적인 결함을 지니고 있다.

1929년 제2회 CIAM 전시회 <‘Die Wohnung für das Existenzminimum’ : 최소주거>를 위하여 에른스트 마이는 ‘순회전시’라는 형식을 창안하여 유럽 전역에서 더 많은 관객이 이 전시를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랐다. 이를 위하여 그는 운송하기 쉬운 도면과 모형, 사진 등으로 건축 작업의 표상을 축소하였다. 에른스트 마이의 순회전시에 대하여 알게 된 필립 존슨은 1932년 <‘The International Style’ : 국제주의 양식>전에서 이 전시개념을 더욱 구체화 한다. 도면, 모형, 사진, 원고, 문서와 같이 건축의 본질을 전달할 수는 없지만 건축에 대한 서사를 보여주는, 오늘날 우리가 건축전시라고 생각하는 형식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 사건은 만져지지 않는 서사를 전달하기 위하여 건축의 파편들을 전시함으로써 건축박물관을 역사박물관으로 만들었다. 역사적인 사건은 이미 지나간 일이지만 불과 몇 킬로밖에 떨어져있지 않은 건축은 여전히 현재이다. 건축박물관은 건축을 모방하며 축소하고 대체하거나 탈맥락화 한다. 그렇다면 건축박물관은 어떠해야 하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 된다. 무엇보다도 건축박물관은 절대로 ‘박물관’이 되어서는 안 된다.

미술관이나 디자인박물관 건축은 본연의 예술이나 디자인을 경험할 수 있는 울타리 또는 캔버스이다. 건축박물관 건축은 실재의 건축전시가 부재하는 울타리이다. 그러므로 박물관 건축물 자체가 건축 전시가 된다. 건축박물관 건축은 그 곳에서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유일한 건축이다. 이것은 건축박물관 건축물이 다른 박물관에 비하여 매우 다른 의미를 갖게 되는 점이며, 한 건축가가 자신의 창작물로 어떻게 건축 전체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제기 한다.

건축박물관은 미술관처럼 절대 ‘화이트 박스’일 수 없다. 건축박물관은 절대 중립적이거나 수동적일 수 없다. 새로 설계된 건축박물관 건축물은 그것이 아무리 화려하게 지어졌어도 경험과 의미의 복합성을 표현하는 것에 실패하기 마련이다. 새로운 건축물은 언제나 건축이 거쳐 가는 한 특정시점을 대변할 뿐이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시작과 함께 건축박물관으로서는 구식이 될 것이다.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난관을 성공적으로 풀어낸 사례들이 있다. 역사적인 건물을 건축박물관으로 다시 활용한 것이다. 기존의 역사적인 건축물을 건축박물관으로 전환하고 확장함으로써 건축물, 건축, 건축가, 전시, 관람객 간의 다중적관계가 형성된다. 전시가 열리지 않을 때조차도 건축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복합성과 전체성은 항상 현존하며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독일건축박물관은 성공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O.M.웅거스가 19세기의 대저택을 그의 유명한 ‘집 속의 집’ 개념으로 증개축한 건축박물관과 칼&막스 두들러가 인근의 20세기 초기의 공장건물을 개조한 박물관 아카이브와 도서관은 앞서 언급한 의미들의 복합성을 만들어 낸다. 서로 다른 시기의 두 역사적 건물, 다섯 명의 건축가, 역사건축과 현대건축이 표현하는 각각의 네 가지 디자인 철학, 서로 중첩되며 관계 맺고, 새로운 의미들의 추가, 건축에 관한 건축과의 심도 있는 대화…

알레한드로 자에라-폴로는 세종시의 결핍된 도시 컨텍스트를 철거되는 고가도로의 일부 구간을 재활용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채우려 한다. 이것은 신축 건물에 역사적인 컨텍스트를 새롭게 구현하는 감탄할 만한 발상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컨텍스트를 대체하는 것일 뿐이다. 건축의 이차적 표상을 담은 복제품으로써의 건축박물관은 컨텍스트의 이차적 표상이다.

그렇다면 이것은 장소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서울은 국립도시건축박물관을 위한 당연한 장소일 것이다. 서울에는 유진상가나 세운상가와 같은 도시건축의 역사적이며 상직적인 ‘상가’건축에서부터, 1세대 또는 2세대의 아파트 단지, 수많은 노후화된 공공기반시설 건물들 그리고 낡은 산업 지역 전체에 이르기까지 건축박물관으로 개조하거나 확장하기에 적합한 역사적 건물이 수없이 많다. 그렇다면 대전이나 부산은 어떤가? 어쩌면 우리는 박물관의 광범위한 주변 환경을 연결하며, 무엇을 위한 박물관인가에 따라 인근을 변화시킬 수 있는 분산형 박물관이 필요한지도 모르겠다. 건축박물관을 위하여 새로운 건축물을 짓는다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다. 건축박물관을 위한 하나의 단일한 장소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건축커뮤니티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의 건축박물관은 무의미하다.    

세종시 박물관단지 안의 어린이 박물관은 건축박물관보다 훨씬 더 많은 방문객들이 찾아 올 것이라는 것은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세종시 주민들이 건축박물관의 주요 관람객이 되지는 않을 것이며, 단지 건축박물관 때문에 세종시로 이주하는 사람 또한 없을 것이다. 신도시 안에서 신축되는 건축박물관은 현대의 도시계획과 건축이 실패할 것임을 명백히 보일 것이다. 이것은 마치 북극에서 아이스크림가게를 찾는 것과 같다. 

신도시를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서 건축을 문화 유원지의 한 부분으로 남용하는 것은 거의 모욕적인 일이다. 건축은 문화의 눈속임이 되어 잊힌 채 썩어갈 것이다. ‘빌바오 효과’는 구조적 변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도시를 활성화 시켰다. 그러나 빌바오는 이미 뚜렷한 정체성과 의미를 갖고 있던 역사적인 도시로써, 구겐하임 미술관이 없어도 살아남았을 것이다. 세종시는 먼저 자신의 정체성과 의미를 찾아야 하는데,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 잘못 이해한 빌바오 효과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차라리 국립중앙박물관을 세종시로 옮겨서 행정도시로써의 의미적 기반에 연결시키는 것이 세종시에 훨씬 더 유용하지 않을까?

이것은 또한 건축박물관이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살아있는 건축박물관은 미래에 관하여 담론을 펼치는 건축공동체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하여 그 가치를 얻는다. 그러므로 건축박물관의 주요 관객은 건축공동체가 될 것이며, 물리적으로도 이 공동체 안에 위치하여야 한다. 살아있는 건축박물관은 교육과 연구의 장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건축학과 학생들이 거주하고 작업하는 곳에 위치해야 한다.

살아있는 건축박물관은 건축에 관한 추상적 역사를 일반 대중에게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매일 일상에서 경험하는 건축환경의 다차원성에 대하여 설명해 준다. 따라서 건축박물관은 이와 같은 역사적 복합성이 결여되어 있는 곳에는 자리잡을 수 없다.

알레한드로 자에라-폴로가 그의 설계안 전체에 의도적으로 무수한 가짜 역사적 건축물 파편을 배치한 공모 당선작의 렌더링 이미지를 보면 그가 이런 특징없는 일반적인 장소에서는 의미있는 담론을 만들 수 없다는 것을 충분히 알고 있음을 느낀다. 이러한 역사의 모조된 파편이 만들어 낸 경관으로 그는 이 건축박물관이 할 수 있거나 하여야 할 것들을 매우 단순화하면서, 비전문가들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전 세계의 박물관이 컬렉션의 예술작품을 원산국으로 반환하고 있는 추세의 오늘날에, 특히 다른 세계의 파편에 대한 백과사전과 같은 전시콘셉을 내세우는 것은 탈식민화시대에 문제가 될 것이다. 21세기의 건축박물관이 19세기 박물관의 발상을 모방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전시해야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클레멘틴 델리스는 자신의 저서 『The Metabolic Museum : 살아있는 박물관』에서 박물관은 지식을 쌓기 위해 작동되어야한다고 제안 한다. 그것은 단순한 저장장치이거나 한 방향으로만 지식을 전달하는 장소가 아니다. 박물관 또한 전시에 대한 방문객들의 반응을 통해 지식을 얻고 축적한다. 방문객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박물관도 방문객에게서 배운다. 박물관은 양방향으로 작동하는 아카데미가 되어야 한다. 박물관은 자신의 관람객에게 반응하며 끊임없이 진화하고, 전시의 영역과 동등한 관람객의 반응을 표현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한다. 이것은 실험실과 같은 박물관이며 건축 담론을 생성하는 활발한 장소이다. 이와 같이 살아있는 지식을 구축하는 장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요건을 갖춘 사람들에게 세종시까지의 짧지 않은 여정을 요구하는 국립박물관은 매우 부적절하다.

이것은 그렇다면 의미 있는 건축박물관을 어떻게 확립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서울의 국립현대미술관은 역사로 둘러 쌓여있으며 미술관들이 군집하고 있는 한 가운데에 의도적으로 자리를 잡았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상호교류와 시너지 효과로 성황을 이루고 있다. 박물관은 그 자체만으로는 의미가 없다. 박물관은 전문가, 기관 및 단체, 실무자 그리고 관심을 갖고 방문하는 관람객 등과 같은 기반이 동반되어야 한다. 성공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감정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세종시의 국립도시건축박물관은 건축의 묘비가 될 것이다. 텅 빈 모뉴먼트, 잊힌 기록들을 위한 벙커이다.

간단한 사유 놀이를 해 보자. 정치적인 결정으로 인하여 국립현대미술관을 내일 당장 서울에서 세종시로 옮겨야 한다고 가정해보자. 미술계는 즉각적으로 격렬한 항의를 할 것이며, 본 미술관이 왜 소격동에 머물러야 하는지에 대한 수많은 논거를 들이 댈 것이다. 그 하나하나의 논거들은 국립도시건축박물관이 세종시에 세워지면 안 되는 이유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건축계의 소리는 어디에 있는가? 건축은 자신의 문화적 중요성에 대한 목소리를 잃어버린 지 오래다. 우리는 의사 결정권자의 부정적 영향이 두려워 목소리 내는 것을 두려워한다. 잠재적인 클라이언트를 잃을까봐 두려운 나머지 우리는 건설 산업, 이익 단체 그리고 정치, 자본에 종속 되어있다. 우리의 침묵은 건축의 중요성을 더욱 약화시킨다.

국립도시건축박물관이 시급하게 필요하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건축은 소통, 교육 그리고 건축 그 자체의 표현을 위해서 사회에 강력한 표상을 내세워야 한다. 그러나 건축을 가능하게 하는 사람들로부터 단절된 건축박물관은 근본적인 결함을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공론의 장이 이제서야 시작되고 있다. 공모전 당선작이 정해진 후에 말이다. 우리의 기대가 세종시의 석관 안에 밀봉되기 전에 우리 건축공동체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야 한다. 먼저 어떤 박물관이 필요하며 어떠한 박물관을 원하는지 공개적으로 논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 논의로부터 프로그램을 발전시키며, 그것에 적합한 장소는 어디인지 결정하고, 그 다음 현상공모를 시작하여야 할 것 이다. 탑다운 방식이 아닌 보텀업 방식으로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