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Ryul Song, Christian Schweitzer
“The most destructive thing is to demolish a building, get rid of all the demolished material, and then build another one.” Nicholas Grimshaw
Architecture is responsible for roughly 40% of all CO2 emissions, followed by agriculture and meat production with 24%. This makes architecture the worst climate killer with the most potential for cutbacks. Roughly 25% are emitted due to building itself and another 15% for the gray energy necessary to inhabit these buildings. Since 2007 for the first time in human history more people live in cities than in the countryside. In 2050 over 80% of the world population will live in urban areas. By 2050 the world’s population will grow by another 2.2 billion to 10 billion people.
In August of 2021 the 6th installment of the IPCC report by the UN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was released. Since 1990 we know precisely the dire situation we are in, the consequences of climate change, and the urgent need to counter further global warming. Only in 2015, 25 years after the fact, the world took action with the Paris Climate Accords, setting out the ambitious goal to limit global warming to 1.5 degree since the star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Now in 2021 we know this goal cannot be achieved anymore: widespread devastation, droughts, rising sea levels, failing ecosystems and extreme weather became a certainty, which will lead to millions of deaths, wars and migration. “The next decades won’t be funny.” By 2050 the temperatures will rise between 1.8 to 3 degrees depending on how fast we act, limiting our time window to implement fundamental change to prevent the worst scenarios to 2030. Only rapid and drastic reductions in greenhouse gasses in this decade can prevent a climate breakdown, every fraction of a degree of further heating will cause accelerating effects. The UN secretary general António Guterres said it in all clarity: “[This report] is a code red for humanity. The alarm bells are deafening, and the evidence is irrefutabl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fossil fuel burning and deforestation are choking our planet and putting billions of people at immediate risk.”
Now the discussion has to shift from “how to prevent it” to “how to prevent the worst and how to prepare to live with it”. In cities like London, Madrid and Seattle a temperature rise by 6 degrees is predicted, New York 4 degrees, Seoul 3 degrees. None of these cities are prepared for this change. The developed world has a special responsibility to take action. They caused the problem and are now trying to share the responsibility with everyone. Korea has one of the worst environmental performances in the world. With 659 million tons of CO2 per year it is ranking 8th in the world; China with 10,065 million tons and the US with 5,416 million tons emitting the most. But looking at the per capita emissions, Korea is taking the 3rd rank with 12.7 kg/p, following Saudi Arabia with 17.7 kg/p and the US with 16.4 kg/p. China only takes a back rank with 7.2 kg/p. But according to the CAT (Climate Action Tracker) Korea’s per capita emissions are rapidly increasing and are set to overtake the US by 2035. Korea needs to act now.
The numbers don’t add up: more people, more buildings, higher temperatures, more urbanization, more fine dust, more land take, more soil sealing, more buildings, more resources needed, after a few decades again redevelopment, more new-towns, more buildings, more resources, more soil sealing, more waste … we are in urgent need for a new approach to architecture and urbanism. We as architects still believe in the modernist paradigm of the 20th century, a paradigm that is widely responsible for the crisis we are in. It shaped Seoul as a functional city, separating living, work, retail, and reconnecting the cities with elaborate traffic systems, roads, and car-oriented infrastructure. This time we cannot ‘build’ our way out of this dilemma, we are choking in concrete.
From 2005 to today more concrete has been used than ever before in human history combined. Since 2003, China has consumed more concrete every three years than the US in the entire 20th century. Annual cement production has risen by 400% within 30 years from nearly one billion to over 4 billion tons a year. In the next decade it is expected to increase another 500 million tons a year. Annual emissions caused by concrete are expected to continue to rise beyond 2050, while they must fall by 16% by 2030 to stay in lin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Paris Agreement. Again the numbers don’t add up, unless there is drastic change, which seems highly unlikely.
Concrete alone is responsible for 8% of CO2 emissions. Producing 1 ton of cement emits 1 ton of CO2, making it the most environmentally harmful material we have. In comparison 1 ton of steel emits 1,2 tons of CO2 in its production, but in contrast to concrete is 100% recyclable and thereby reduces its emissions to 800 kg CO2 over its lifespan. The mining of gravel, sand, and lime is destroying entire ecosystems. Since 2005, sand mining has erased at least two dozen Indonesian islands, mostly ending up in Singapore, China, Korea, and Japan. The collateral environmental damage has been so extreme that Indonesia, Malaysia, and Vietnam have all restricted or banned exports of sand to Singapore. The high demand has led to widespread illegal sourcing under mafia-like structures, spiraling the devastating impact on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uardian the Chinese, Korean, and Japanese building industry is heavily relying on these illegally sourced components to keep up with the demand for new buildings.
New kinds of concrete are developed right now that replace Portland cement and thereby drastically reduce the CO2 emissions. But until they can be implemented in the building process on a mass scale it will take another one and a half decades. Until then we have to reduce the use of concrete to a minimum, for public infrastructure and foundation purposes only. This requires a new approach to building systems in Korea, the shift to steel, wood and hybrid systems of concrete and brick. To shorten the global supply chain and the reliance on Indonesia mass-timber, which again has a devastating impact on their rainforest, Korea urgently has to build up its own wood industry that can supply the demand while preventing local deforestation. It would also have a wide impact on urbanism as it limits the height of buildings to 10 floors, which requires a ‘low rise / high density’ approach in how we plan our cities. In another example, one 20 story building requires 40% more concrete than two 10 story buildings. Above 10 floors the amount of concrete needed to support the structure system rises exponentially. Again we have to shift to a low rise urbanism. Stopping the widespread use of concrete could immediately save up to 6% of global CO2 emissions. In comparison, switching entirely from the combustion engine to the electric car only saves 2%.
Korea has to switch from an emission-trading scheme, which issues permits for industries to pollute, to a carbon tax scheme. Carbon tax would make concrete buildings the most expensive and would therefore immediately trigger the use of alternative structure systems like wood.
According to the UN Global Status Report of 2017 30 billion square meters will be added to cities around the world within the next 40 years, roughly the size of Paris being added every single week. Although the energy intensity of each square meter of the built environment is decreasing by 1.5% per year, it is being outpaced by the rate of growth of the global floor area of 2.3% per year. Land take and soil sealing have a huge impact on local groundwater levels and eco systems. For example in Europe from 1990 to 2015 the population increased by 2.4% while the built-up areas expanded by more than 30%. Although the number of inhabitants in Seoul is decreasing the building activity shows no sign of slowing down, stuck in an endless circle of redevelopment, densification and expansion with apartment complexes beyond demand. Across the world, building has become synonymous with development. The logic of the growth of the gross domestic product (GDP) as a measure of economic activity and success has led us into a dead end. According to the Wire during the 1997-98 Asian financial crisis, economic advisers told the Japanese government the best way to stimulate GDP growth was to dig a hole in the ground and fill it. Preferably with cement. The bigger the hole, the better. In short: it doesn’t matter what we build, just build as much as we can.
We urgently need a different way to measure human progress, away from economic indicators towards social indicators such as life-expectancy, education levels and personal happiness. We are in a situation where degrowth is the only solution to our problems, which requires us to reduce our building activities drastically, which again is contrary to the logic of our economic system and our profession.
To meet the goals of the Paris Agreement the “energy per square meter” used by buildings has to be lowered by 30% until 2030. With the lack of sufficient mandatory building energy codes in Korea this goal is far out of reach. Currently built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would never get a building permission measured for example by European regulations: exposed concrete, insufficient interior insulation, no exterior insulation, no exterior window shading, individual gas boilers instead of central heating systems, the reliance on air-conditioning for cooling. The emissions due the higher energy demand for heating and cooling are almost double than in Europe. Implementing the needed requirements in Korea would increase the building costs up to 60%, rendering the Korean apartment complex unaffordable. Taking into account the widening income gap in Korean society, the government will have to step in to provide affordable and ecological social housing on a mass scale. The days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models to privatize urbanistic decisions are over.
Related to this issue,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describing the relation between soil sealing and temperature, is especially bad in Seoul. The radiation heat of buildings to the inside and outside combined with an almost 98% sealed outdoor space in a typical 1980s high density, 4-story neighborhood is raising temperatures by 3 to 5 degrees in contrast to the nearby countryside. Cooling centers for the elderly won’t cut it anymore when temperatures globally rise by 2 degrees. A large amount of buildings in Seoul will become uninhabitable during the summer, including all apartment complex buildings. Seoul is in need of a de-densification strategy paired with a green strategy that would require the demolition or repurposing of buildings within dense areas, away from a mono-functional towards a diversified zoning law, high insulation standards and an un-sealing of the ground to up to 50% The BCR (Building Coverage Ratio) will have to be reduced below 40% and building back-to-back will have to be allowed.
Around 75% of buildings in Seoul that will exist in 2050 have already been constructe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decarbonizing the existing building stock. Retrofitting existing buildings with insulation and energy saving measurements has to become a priority. This will require a huge amount of investment into something that no one in Korea considers as valuable. The value of a building in Seoul is in no relation to the land price it is standing on; hence a building is considered as exchangeable, free to be demolished and replaced at any time.
Within the EU a structure system has to be planned and executed in a way it can last without maintenance for 100 years. Switzerland is raising this number now to 150 years. Korean structure systems barely make it beyond 40 years before costly repair becomes necessary, which automatically results in their removal. Seoul is in need of a moratorium on demolishing existing buildings. Redevelopment as a tool of urban regeneration has to be abandoned immediately. The life-span of an apartment complex in Seoul is now set to 30 years, after which the owners can organize another round of redevelopment: demolishing the existing ‘again’ and rebuilding with even higher density. Retrofitting to mandatory building energy codes, renovation, and intelligent extension will have to become the norm.
Newly constructed buildings have to be built on the assumption to last for at least 100 years to break the spiral of construction, demolition, waste, and new construction. Therefore we need to design and renovate buildings in a way they become easily reusable, adaptable and maintainable. We have to move away from functional determinations as we can hardly see that far into the future. Every building has to become capable of functional change, fast adaptability, and the easy recyclability of the used components within. At the same time, this mandatory investment will raise the value of buildings to a point where it is un-economic to demolish and replace an existing building.
Today Seoul, as most cities around the globe, is again in urgent need for another fundamental overhaul of its infrastructure, this time to be made fit for the 21st century. Our understanding of architecture as building new buildings has to shift. With 40% of the global CO2 emissions due to buildings we as architects are at the core of the problem. As nothing will change on a voluntary basis, as one architect alone cannot change an entire system we as architects have to come together again in a movement, speaking with one voice. We have to put pressure on our professional associations to demand new laws and regulations. Korea will need a complete and fundamental overhaul of its building code. We have to actively stop being complicit in a system that is going to destroy our future. We need systemic change.
We have to educate ourselves and prepare the next generation of architects for the changing demands towards architecture. Every single student project designed now has to be designed to be carbon neutral or even carbon negative, although a large number of current university teachers do not even know the basic principles of ecological building.
We need to design intelligent densification, sustainable buildings that last more than 100 years and can adapt to changing needs, we have to emphasize the reuse and extension of existing buildings, and stop the demolition of buildings all in all. We have to develop CO2 neutral structure systems, unseal the land to lower temperatures, reduce air pollution, overhaul the traffic infrastructure away from individual transportation, improve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enable functional and social diversity and new forms of coexistence. The list is endless. We, the architecture community, have to unite now behind the common goal of tackling these critical problems.
Climate Crisis / Architecture / Ethics first published in an abbreviated version in SPACE Magazine No. 648, November 2021
기후위기 / 건축 / 윤리
송률, 크리스티안 슈바이처
“가장 파괴적인 것은 건물을 허물고, 허물어진 자재를 모두 치우고, 그 자리에 다시 새 건물을 짓는 것이다.” – 니콜라스 그림쇼
건축은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40%를 차지한다. 2위를 차지하고 있는 농경과 목축업의 배출량 24%를 훨씬 넘어서고 있다. 이 사실은 건축이 최악의 기후 파괴자 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동시에 이산화탄소 감축 잠재성이 가장 크다는 것도 의미한다. 40% 중 대략 25%는 건축행위 자체에서 배출되고 나머지 15%는 이러한 건축물에서 생활하기 위해 필요한 회색 에너지에서 배출된다.
2007년부터 사람들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시골보다 도시에 더 많이 살고 있다. 2050년에는 세계 인구의 80% 이상이 도시 지역에 살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 인구는 22억 명이 늘어나 100억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2021년 8월 유엔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제 6차 평가보고서가 발표되었다. 1990년 이래로 우리는 우리가 처한 심각한 상황, 즉 기후변화가 가져올 재앙과 다가오는 미래의 지구 온난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절박하고 긴급한 필요성을 정확히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후 25년이 지난 2015년에서야 산업혁명 이후 지구 온난화를 1.5도 이내로 제한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파리기후협정에서 책정하며, 세계는 구체적 행동으로 옮기기에 들어간다. 그러나 지금 2021년 우리는 이 목표를 더 이상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광범위한 황폐화, 가뭄, 해수면 상승, 생태계 파괴 및 극한의 날씨 징후가 명확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후변화는 수백만 명의 사망, 전쟁 및 난민의 발생으로 이어질 것이다. “The next decades won’t be funny.” 2050년까지 우리가 얼마나 신속히 행동하느냐에 따라 기온은 1.8도에서 3도 사이로 상승할 것이며, 최악의 시나리오를 막기 위한 근본적인 변화 구현의 시간적 한계는 늦어도 2030년으로 생각하여야 한다. 이 10년 동안 얼마나 빨리 그리고 대폭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느냐는 것 만이 기후 붕괴를 막을 수 있다. 온도를 더 올리게 되는 모든 요건들은 기후 붕괴를 더욱 가속화 시킨다. 유엔 사무총장 안토니오 구테흐스는 매우 명료하게 지적한다. “[이 평가보고서는] 인류를 위한 코드 레드이다. 경종은 터질 듯 울리고 있다. 증거는 어떻게도 반박할 수 없을 정도이다. 화석연료 연소와 삼림 벌채로 인한 온실 가스 배출이 지구를 질식시키고 수십억 명의 사람들이 피할 수 없는 위험에 처해있다.”
이제 우리들의 논의는 ‘어떻게 최악의 상황을 막을 것인가?’에서 ‘어떻게 최악의 상황을 막고 기후변화와 함께 살아가도록 대비할 수 있을까?’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런던, 마드리드, 시애틀은 6도, 뉴욕 4도, 서울은 3도의 온도상승이 예상된다. 그러나 이 상황을 대비하고 있는 도시는 없다. 특히 선진국은 조치를 취해야 할 막중한 책임이 있다. 그들은 자신들이 이러한 상황을 발생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모든 사람과 책임을 나누려 하고 있다. 한국은 환경적인 면에서 세계 최악이다.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6억 5900만 톤으로 전 세계 8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이 100억 6500만 톤, 미국이 54억 1600만 톤으로 총량은 더 많지만 1인당 배출량을 따져보면 한국이 12.7kg으로, 사우디 17.7kg, 미국 16.4kg에 이어 3위다. 분석기관 ‘기후 행동 트래커(CAT)’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배출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2035년에는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지금 당장, 행동을 취해야 한다!
더 많은 인구, 더 많은 건물, 기온 상승, 도시화의 증가, 미세먼지 증가, 토지 점유 증가, 더 많은 토양 포장, 또 더 많은 건물, 더 많은 자원의 수요, 그리고 다시 몇 십년 후 재개발, 더 많은 뉴타운, 다시 또 더 많은 건물, 더 많은 자원, 더 많은 토양 포장, 더 많은 폐기물… 더 이상 이 숫자를 늘리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건축과 도시계획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요구되는 절박한 상황에 처해있다. 우리 건축가들은 여전히 우리가 처한 위기의 단초를 제공한 20세기 모더니즘의 패러다임을 믿고 있다. 이 패러다임은 서울을 주거, 업무, 상업으로 분리하고 다시금 교통 시스템, 도로, 자동차 중심의 기반시설로 도시를 연결하는 기능적 도시로 만들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이 딜레마에서 벗어나는 길을 ‘만들지’ 못하고 콘크리트 안에서 질식하고 있다.
2005년부터 지금까지 사용된 콘크리트 양은 인류 역사 이래 사용한 모든 양을 합친 것 보다도 더 많다. 2003년 이후 중국이 매 3년마다 소비한 콘크리트 양은, 미국이 20세기 전체 동안 소비한 양보다도 더 많다. 연간 시멘트 생산량은 30년 만에 거의 10억 톤에서 40억 톤 이상으로 400% 증가하였다. 앞으로 10년 동안 연간 5억 톤씩 추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콘크리트로 인한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50년 이후에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파리협정의 요구 사항에 맞추려면 2030년까지 16%를 줄여야 한다. 대폭적인 변화를 하지않는 이상, 다시 말하지만, 최소한 더 이상의 숫자를 늘리지는 말아야 한다. 그러나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콘크리트는 단일 품목만으로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8%를 차지한다. 시멘트 1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1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콘크리트는 우리가 사용하는 물질 중에서 환경에 가장 유해하다. 이에 비해 철강은 같은 양을 생산할 때 800k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콘크리트와 달리 100% 재활용이 가능하다. 자갈, 모래, 석회석의 채굴은 지구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2005년 이래 모래 채굴로 인해 적어도 인도네시아의 섬 최소 20여개가 지도상에서 사라졌고, 이렇게 무자비하게 채굴된 모래는 대부분 싱가포르, 중국, 한국 및 일본으로 팔려 나갔다. 수반되는 환경 피해가 너무 극심하여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은 모두 싱가포르로 모래를 수출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금지하였다. 하지만 높은 수요는 마피아 같은 구조에서 광범위한 불법적인 공급원으로 이어지며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국의 <가디언>에 따르면 중국, 한국, 일본의 건설 산업은 건물 신축에 대한 수요를 따라잡기 위해 불법적으로 조달된 자재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사용되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대체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콘크리트가 개발되고 있지만, 이 재료를 대규모 건설 과정에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는 앞으로 15년 정도가 더 걸릴 것이다. 그때까지 우리는 공공 기반시설과 건물 기초를 제외한 나머지 사업에서는 콘크리트 사용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건축 시스템이 강철, 목재, 콘크리트, 벽돌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글로벌 공급망을 단축하고, 열대 우림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도네시아 매스팀버에 대한 의존도도 줄이기 위해 한국은 지역 삼림 벌채를 방지하면서 수요를 공급할 수 있는 자체 목재 산업을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목조로의 전환은 건물 높이를 최대 10층으로 제한할 수 밖에 없으며, 앞으로의 도시는 저층/고밀도 방식으로 계획 될 것이다. 이는 도시생활에도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저층화가 되어야 하는 또 다른 다른 예를 들어보자. 20층 규모의 건물을 한 동 지으려면 10층 규모의 건물 두 동을 지을 때보다 40% 더 많은 콘크리트가 필요하다. 10층 이상의 건물에서는 구조 시스템을 지지하는 데 필요한 콘크리트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다시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도시는 저층화로 전환되어야 한다. 콘크리트의 광범위한 사용을 중단하면 즉각적으로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최대 6%를 절약할 수 있다. 모든 차를 연소 엔진에서 전기 자동차로 완전히 전환하여도 단지 2%만 절약되는 것과 비교하면 굉장한 수치이다.
한국은 탄소배출의 권한을 사고 팔 수 있는 방식의 (산업계가 공공연하게 오염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는) ‘배출권거래제’에서 탄소배출에 따라 가격을 부여하는 ‘탄소세’ 제도로 전환해야 한다. 탄소세를 도입하면 콘크리트 건물을 지을 때 가장 많은 돈이 들 것이고 따라서 목재와 같은 대체 구조 시스템이 즉각적으로 촉발될 것이다.
2017년 유엔 세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앞으로 40년 이내 전 세계에 300억 평방미터의 도시가 추가될 것이며, 이는 대략 매주 파리 정도의 면적이 추가되는 것과 같다. 건축 환경의 각 평방 미터 에너지 집약도는 매년 1.5%씩 감소하고 있지만, 연간 2.3%의 전 세계 바닥 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즉, 우리는 아무것도 절약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토지 점유와 토양 포장은 지역 지하수면 높이와 생태계에 어마한 타격을 준다. 토지 점유에 관한 예를 들면 유럽에서 1990년부터 2015년까지 인구는 2.4% 증가하는 동안, 시가지 면적은 30% 이상이나 증가하였다. 서울도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건축 활동은 둔화 기미를 보이지 않으며, 수요를 넘어선 아파트 단지와 함께 끝없는 재개발, 과밀화, 확장의 순환에 갇혀 있다. 전 세계적으로 건설은 발전과 동의어가 되었다. 경제 활동과 성공의 척도로서 국내총생산(GDP) 성장의 논리는 우리를 막다른 골목으로 이끌었다. <와이어> 매거진에 따르면, 1997-98년 아시아 금융 위기 동안 경제 고문들은 일본 정부에 GDP 성장을 촉진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땅에 구멍을 파고 채우는 것이라고 조언하였다. 이왕이면 시멘트로 채우고, 구멍은 클수록 좋다고 하였다. 즉, 무엇을 만드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할 수 있는 한 많이만 만들면 된다는 것이다.
인간의 진보를 경제 지표로 측정하는 방식도 시급히 바꾸어야 한다. 기대 수명, 교육 수준, 개인 행복과 같은 사회적 지표로 인간의 진보를 다루어야 한다. 지금 우리는 탈성장만이 우리 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인 상황에 처해 있다. 건축가라는 우리 직업과 경제 시스템 논리와는 정반대이지만 건설 활동을 대폭 줄여야 한다.
파리협정의 목표치에 도달하려면 2030년까지 건물에서 사용하는 ‘m2당 에너지’를 30% 줄여야 한다. 그러나 한국은 건축 에너지 의무화 규정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그로부터 더 멀어진다. 현재 서울에서 지어지고 있는 아파트 단지들은 유럽 기준에 준해서는 절대로 건축 허가를 받을 수 없을 것이다: 콘크리트 노출 사용, 불충분한 내단열재, 외단열재 부재, 외부 차양시설 부재, 중앙난방 시스템 대신 개별적 가스보일러 시스템 사용, 에어컨에 의존하고 있는 냉방시스템… 더구나 냉난방에 대한 수요가 높기 때문에 에너지 배출량이 거의 유럽의 두 배에 이른다. 에너지 절약에 필요한 모든 조건들을 갖추려면 공사비가 60%까지 증가하여 아파트 값은 감당이 안 될 것이다. 갈수록 벌어지고 있는 한국 사회의 소득격차를 감안할 때 정부가 나서서 저렴하고 생태학적인 공공지원주택을 대규모로 공급해야 할 것이다. 도시적 결정을 사유화하기 위한 민관 파트너십 방식의 시대는 끝났다.
토양 포장과 복사열로 인한 서울의 도시열섬현상 또한 매우 심각하다. 1980년대 지어진 4층 높이 정도 건물들이 밀집해 있는 동네의 실외는 거의 98% 차폐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복사열은 건물 내외부의 온도를 3도에서 5도 정도 더 높인다. 시골 지역과 매우 비교되는 상황이다. 지구의 온도가 2도 더 올라간다면, 취약계층을 위한 무더위 쉼터는 끊이지 않는 많은 사람들로 붐비게 될 것이다. (무더위쉼터가 궁극적인 해결책이 될 수도 없다.) 아파트 단지를 포함한 서울 대부분의 건물이 여름에는 사람이 견디기 힘들 만큼 뜨거워질 것이다. 서울은 밀집 지역의 건물을 철거하거나 용도를 변경하는 등의 탈고밀화 전략과 녹색 전략이 필요하다. 비슷비슷한 기능이 밀집하게 되는 용도지역 지정 방식에서 여러 다양한 기능이 공존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야 하며, 단열에 대한 기준을 높이고 대지의 50%이상을 비포장으로 남겨 놓아야 한다. 건폐율은 40% 아래로 낮추고 맞벽구조도 허용해야 한다.
2050년 서울에 존재할 건물의 75%는 이미 지어지고 있으며, 기존 건물들의 탄소배출 감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존 건물을 개보수 할 때에는 단열 성능을 높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우선순위가 되어야 한다. 이것은 한국에서 아무도 가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큰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서울의 건축물은, 그것이 서 있는 땅 값과는 관계가 없다. 건축물은 언제든지 철거되고 교체 가능한 것으로 가치가 없다고 여겨지고 있다.
유럽연합 내에서는 유지보수 없이도 구조 시스템이 100년은 지속되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스위스는 이 숫자를 현재 150년으로 늘리고 있다. 한국의 구조 시스템은 거의 40년을 넘기지 못하고 고가의 보수가 필요하도록 지어 지고 있다. 그리고 보수의 시점이 오면 이 비용을 지출 하느니 차라리 철거하고 새로 짓겠다는 결과로 이어진다. 서울은 기존 건물 철거를 유예하여야 한다. 도시재생이라는 명목 하에 한꺼번에 전부 때려부수고 새로 짓는 방식의 재개발사업은 당장 폐기되어야 한다. 현재 서울의 아파트 단지의 재건축 수명은 30년으로 정해져 있다. 그 시간이 지나면 소유자들은 다시 다음 재개발사업을 계획한다. 기존의 건물을 ‘또다시’ 완전히 부수고 훨씬 더 높은 밀도를 준비한다. 의무적인 건물 에너지 규정을 개선하고, 개보수하며 현명한 방법으로 증축하는 것이 표준화 되어야 할 것이다.
새롭게 지어지는 건물들은 이제 최소 100년 이상 유지된다는 전제하에 지어져야 한다. 건설, 철거, 폐기물, 그리고 또다시 새로운 건설이 당연한 것처럼 순환되는 이 고리를 끊어야 한다. 그러기위하여 건축물은 쉽게 재사용할 수 있고, 새로운 기능에 쉽게 적응할 수 있고, 쉽게 유지관리 할 수 있도록 처음부터 계획하고 개보수 하여야 한다. 미래를 예측하기란 쉽지 않기때문에, 지금 당장 요구되는 기능에만 맞추는 설계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모든 건물은 기능 변경, 빠른 적응성 그리고 사용된 구성 요소의 쉬운 재활용이 가능해 져야한다. 이 모두를 위한 의무적 투자는 기존 건물을 철거하고 새로 짓는 행위가 비경제적일 정도로 건물의 가치를 높일 것이다.
오늘날 서울은 전 세계 대부분의 도시와 마찬가지로 21세기에 맞는 기반시설의 또 다른 근본적인 정비가 시급하다. ‘건축’을 ‘새로운 건물을 짓는 것’이라고 이해하는 우리의 생각부터 바꿔야 한다.
자발적으로 바뀌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건축가 한 사람만으로 전체 시스템을 바꿀 수도 없다. 건축가인 우리는 함께 한 목소리로 모여 다시 변화로 향해야 한다. 우리는 새로운 법률과 규정을 요구하도록 전문 협회에 압력을 가해야 한다. 한국은 건축법규의 완전하고 근본적인 개편이 필요하다. 우리의 미래를 파괴하는 시스템에 연계되어 있는 것들을 적극적으로 중단해야 한다. 우리는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건축에 대한 변화를 우리 스스로 공부하고, 다음 세대의 건축가를 준비해야 한다. 비록 현재 많은 대학 교수들이 생태학적 건물의 기본 원리조차 모르고 있지만, 학생들이 설계하는 모든 프로젝트는 탄소중립적으로 혹은 탄소를 흡수하도록 진행하여야 한다.
우리는 100년 이상 지속되고, 변화하는 미래의 요구에 적응할 수 있는 현명한 고밀도화, 지속 가능한 건물을 설계하여야 하며 기존 건물의 재사용과 증축 등의 방식을 강조하고 기존 건물의 철거를 전면적으로 중지해야 한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중립 구조 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온을 낮추기 위해서 포장을 걷어내고, 대기오염을 줄이고, 개인 교통수단이 아닌 교통 기반시설을 정비하고, 생활과 업무 환경을 개선하고, 기능적 그리고 사회적 다양성과 새로운 형태의 공존을 가능하게 해야한다. 목록은 끝이 없다. 우리는, 건축 공동체로서, 지금 이러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한다는 공통의 목표로 함께 하여야 한다.
기후위기 / 건축 / 윤리, <공간> 최은화 기자 편집 2021년 11월호 No.648에 발췌 게재